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변동환율제2

정부는 환율을 안정시킬 수 있는가? 개방적인 경제에서는 환율이 매우 불규칙하게 또는 급격하게 변할 수 있는 여지가 얼마든지 있다. 어떤 경제학자들은 단기에도 환율을 안정시킬 수 있는 정부의 능력에 대해서 회의적인 태도를 취한다. 외환시장에서 나타나는 투자자들이 갖는 미래기대환율에 대한 투기심리를 무시하고 정부가 현재 환율을 유지하려고 노력해도 수포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정부가 외환시장에 무리하게 개입해도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견해이다. 환율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 학자들은 다음 몇 가지의 측면을 아울러 강조한다. 첫째는 안정이 유지될 수 있는 균형환율을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한다. 정부관리 몇 사람이 외환시장에 참여하는 수많은 투자자들보다 현명한 판단력을 가질 것이라고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사.. 2023. 9. 25.
순수한 변동환율제 순수한 금본위제에서 처럼 환율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제도, 즉 고정환율제의 정반대는 완전히 신축적으로 변동하는 환율제도, 즉 순수한(또는 완전한) 변동환율제이다. 한 나라 화폐의 다른 나라의 화폐에 대한 교환비율인 환율은 국제환시장에서 자유롭게 결정된다. 한 나라 화폐의 환율은 때로는 올라가거나 내려간다. 마찬가지로 다른 나라의 환율도 수시로 변동한다. 기본적으로 변동환율은 수요, 공급의 시장기구를 통하여 결정된다. 1. 국가간 자본이동이 없을 때의 환율결정 한국과 미국으로 이루어진 2구 세계를 가정하자. 두 나라 간에 상품의 무역만 이루어지고 자본의 이동은 없다고 가정한다. 외환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이나 간섭이 없다면 환율은 외환시장에서의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될 것이다, 한국의 외환시장.. 2023.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