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플레이션4

인플레이션 대책과 관련된 쟁점들 (1) 반인플레이션 정책의 비용과 편익 앞에서 이미 우리는 인플레이션의 비용에 대해서 공부하였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데서 얻는 편익은 바로 이 인플레이션의 비용이 실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말할 수 있다. 한편, 반인플레이션 정책의 가장 중요한 비용은 실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과 실업이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가지고 있다면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이 더 큰가 아니면 실업의 사회적 비용이 더 큰가 등이 반인플레이션 정책을 사용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화론자들이나 신고전거시경제학파의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의 비용이 더 크다고 보는데 반해, 케인지언이나 신케인지언은 실업의 비용이 더 크다고 주장한다. 통화론자들이나 신고전거시경제학파의 경제학.. 2023. 3. 12.
인플레이션 대책 1.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수단들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의 방법은 다양하다. 우선 인플레이션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그것과 함께 살아가는 방안을 모색하는 대안을 생각할 수 있다. 반대로 적극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싸우는 대안을 채택할 수도 있다. 적극적으로 싸우는 대안을 채택하는 경우에도 그 강도와 방법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전통적으로 케인지언들은 인플레이션이 심각해지는 경우 재정이나 금융의 긴축적 운용을 통해 총수요를 억제함으로써 인플레이션갭을 줄이고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과도하게 추진될 경우 오히려 GDP갭이 생기고 실업 때문에 고통당하는 계층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요컨대, 케인지언들은 인플레이션보다는 실업에 더 큰 정책비중.. 2023. 3. 11.
인플레이션의 원인 1. 수요 및 공급충격과 인플레이션 물가가 상승하는 요인은 두 가지로 집약된다. 총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거나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물가상승의 기본적인 요인이다. AD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물가수준과 소득수준이 동시에 상승한다. 물론 두 가지 효과 중 어느 쪽이 더 강조되는가는 총공급곡선의 기울기가 결정한다. AD곡선의 이동을 가져오는 요인을 수요충격이라고 말한다. 총수요곡선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어떤 경우에 AD곡선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가를 공부하였다. 한편, 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들을 공급충격 이라고 말한다. 공급충격에 의해서 단기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물가의 상승과 소득의 감소가 동시에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충격들은 물가를 일회적으로 올리는 효과를 가질 .. 2023. 2. 8.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의 정의 일반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이것은 물가의 일회적 상승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국제원유가격의 급등으로 어느 한 해의 물가가 높은 비율로 상승하였으나 그 뒤에 바로 안정되었다면 그것은 인플레이션이라기보다는 일회적인 물가의 상승 또는 물가수준의 조정이라고 말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그러나 일상적인 용어로서 인플레이션이라는 말은 물가의 일회적 상승과 거의 구분하지 않는 것 같다.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에서는 거의 항상 물가가 오르기 때문에 우리가 직면하는 인플레이션의 문제는 인플레이션이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어느 정도로 인플레이션이 심한가의 문제라고 본다면 앞에서 말한 일회적 상승과 상승의 지속을 구분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을지 모른다... 2023. 2. 7.
반응형